스 세 병리학의 개요, 분류, 역사
본문 바로가기

간호학과/과목별 내용정리

병리학의 개요, 분류, 역사

병리학의 개요

• 병리학이란 어떤 학문인가? -Pathology : 그리스어 Pathos(질병) + Logos(학문,과학)

• 병의 원인. 발생. 경과 및 그 변화 등에 관한 연구를 하는 학문이다. 

• 넓은 의미로는 생물체에서 볼수 있는 모든 이상(병) 및 기형을 대상으로 한다.

• 좁은 의미로는 인체를 다루어 병변의 형태 를 규명하고 병태의 구조와 기능의 변화를 분명히 하여 치료와 예방을 담당하는 기초 의학의 한 분야이다.

병리학의 분류

• 인체병리학은 병든 사람으로부터 얻은 재료를 연구대상으로 연구하는 것이다. 

• 실험병리학은 주로 동물이나 배양세포를 대상으로 한다. 

• 인체병리학은 다시 임상병리학과 해부병리학으로 나눌 수 있다. 

• 임상병리학은 주로 환자로부터 얻은 검사물을 생물학적.화학적 방법으로 연구 검사 하며, 우리나라에서 2002년부터 진단검사 의학으로 명칭이 변경되었다.

• 해부병리학은 부검(autopsy)재료, 생검 (biopsy) 또는 수술 적출물, 탈락 및 흡인세 포 등을 주로 형태학적으로 연구.규명하는 분야로, 우리나라에서 2002년부터 단순히 병리학으로 부른다. 

• 이 중 생검 및 수술 적출물만을 검색하는 분야를 외과 병리학이라고 한다. 

• 세포진단을 담당하는 분야를 세포병리학 이라고 한다. 

• 부검(autopsy)은 병리학의 기본이 되며 이를 통해 임상진단 및 치료가 적절하였는지 등을 판단할 수 있다.

병리학의 역사

• 질병을 연구하는 학문은 사실상 인류의 시작과 함께하였다. 이것이 시대적 변천과 과학적 방법의 동원으로써 근대병리학으로 체계화된 것이다.

1) 히포크라테스 의학 -히포크라테스(BC 460~377)는 ‘질병은 자연 현상이며, 이는 시체에서 일어난다’고 함. -질병의 본질에 대한 액체병리학설을 세움으로써 희랍의학을 과학적 단계까지 끌어 올렸다.

-로마시대 학자 갈레누스(AD 129~201)가 히포크라데스의 4가지 액체중에서 특히 혈액을 중요하게 여기는 액체병리학설을 계승.

-이후 아스크레피아데스(BC128~56)가 고체 병리학설을 주장하며 액체병리학설을 배척하고 나섬.

2) 중세기 병리학 -해부학의 아버지라 할 수 있는 베사리우스 (1514~1565)가 나타나기까지 1300년동안 의학의 암흑기

-1300년경부터 시체 해부가 비로소 시작되어 해부학이 의학교육의 교과과목으로 들어가게 됨.

-해부학의 발전과 함께 병리학이 나란히 발전하게 됨.

-특히 이탈리아에서 해부학의 발전과 병행하여 생전의 임상적 증상과 사후의 병리해부 소견을 비교하는 일이 유행하였다.

3) 문예부흥기 병리학

-16세기부터 19세기 후반까지를 문예부흥기로 볼 수 있다.

-17세기에 들어 Harvey에 의해 혈액순환이 발견되었는데 현미경을 통해 세포(cell)를 발견함.

-레벤후크가 현미경 통해 세균과 원생동물을 관찰하였다.

-의학 전반에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.

4) 근대병리학

-비르효가 모든 병의 기원은 세포에 있으며 질병이란 병든 세포의 집단에 불과하다고하여 세포병리학설을 주장하였다.

-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병리학이 발전되어오다가 전자현미경이 나오면서 다시 세포내의 미세구조 차원까지 그 범위를 넓힌 것 이 오늘날의 병리학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