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 세 기본간호학 이론 - 약물 투여경로, 주사기, 약물 혼합
본문 바로가기

간호학과/과목별 내용정리

기본간호학 이론 - 약물 투여경로, 주사기, 약물 혼합

1. 구강경로

①구강(oral): 가장 보편적경제적편리한 경로, 안전한 투약방법, 위점막 자극, 위장관에서 흡수가 느리거나 불규칙, 구토위장관흡인무의식상태연하곤란금식(NPO)처방 등의 대상자는 경구투여 불가, 흡인 방지

②설하(sublingual): 혀밑에서 용해되어 혀밑혈관으로 흡수, 흡수속도 빠름, 물과함께 삼킬경우 치료적효과X, 대표적으로 협심증 치료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이 있음, 혀밑으로 투여된 약물이 완전히 용해 된 후에 음료가능.

③볼점막 투여(buccal): 약물이 볼안쪽 점막에 닿도록해 약물이 녹을때까지 입속에 약물고있어야 함, 반복투여시 자극방지위해 양쪽 볼 번갈아 사용, 볼점막 흡수시 국소적효과이나 침에 섞인 약물 삼킬경우 전신반응 나타내므로 주의

2. 비경구경로(parenteral): 소화기관 이외의 경로, 무균술 이용하여 침습적 시술, 감염의 위험

①피내(Intradermal, ID): 표피 아래 진피 속에 투여

②피하(Subcutaneous, SQ, SC): 피부의 진피 아래 피하조직에 투여

③근육(Intramuscular, IM): 근육조직 내 투여

④정맥(Intravenous, IV): 정맥혈관 내 투여

그외에 경막외(epidural), 복강내(intraperitoneal), 수막공간내(intrathecal), 심장내(intracardiac), 흉곽내(intrapleural), 동맥내(intraarterial), 골내(intraosseous), 관절강내(intrarticular)

3. 국소투여: 신체의 한정된 영역에 투여, 국소적효과

①피부: 바르거나 도포, 물약의 경우 습포드레싱직접담그기치료적목욕, 장기간 투여시 전신효과가 나타날수 있음

②점막: 점적세척의 방법, 방광직장질과 같은 체강에 투여

③흡입:호흡기계에 사용, 분무기호흡기계를 이용해 비강구강통로기관내관기관절개관을 통해 투약가능, 국소적전신적 효과

④안구 내: 렌즈와 유사한 약물삽입해 투약

4. 용량 측정

①미터법: 세계적으로 사용/ meter(길이), liter(부피), gram(무게)/ 분수 사용X, 소수 사용O

②약국액량법: 미국영국캐나다에서 사용/ 부피단위(pint)/ 혼동피하기위해 미터법사용

③가정용액량법: 편리하고 친숙, 티스푼컵이용해 측정/ 부피단위(drops)

1g = 1,000mg / 1L = 1,000L / 1mL = 1cc = 20gtt / 10U = 0.1cc(이건 인슐린임)

5. 경구투약시 흡인: 구강으로 섭취한 음식수분약물이 비의도적으로 호흡기계에 들어갔을 때 발생

6. 주사기(syringe): 연결부위(tip), 외관(barrel), 밀대(plunger)로 구성/ 취급시 주사기바깥쪽 밀대의 손잡이 부분만 만지고 연결부위, 밀대, 외관의 안쪽부분은 멸균상태 유지

•종류

- Luer-Lok주사기: 바늘이 주사기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개발

- 유리주사기: 플라스틱 접촉시 변질되는 약물 투여시 사용

•크기: 0.5~60mL까지 다양, 근육피하시(1~3mL흔히 사용), 표준주사기(2, 2.5, 5, 10mL), 인슐린투여시(1mL을 사용하며 100unit의 눈금이 표시)

7. 바늘(needle): 스테인리스스틸로 일회용/ 중심부(hub), 기둥(shaft), 사면(bevel)로 구성

•사면의 길이

-사면이 긴 것: 뾰족하고 예민해 삽입시 불편감이 적어 피하근육주사시 사용, 혈관벽을 뚫거나 닿아 주사약 주입을 막을수 있어 정맥주사시 사용안함

-사면 중간 것: 정맥주사시 사용 -짧은 것: 피내시 사용

•바늘의 길이: 1/4~5인치(0.6~12cm)까지 다양, 대상자의 신장체중약물주사할 조직 유형에 따라 바뀜

•굵기: 게이지(gauge, G)로 표시, 14~28G까지 다양, G의 번호가 클수록 굵기는 가늘어져 조직손상 줄임, 근육주사시 21~25G, 피하시25~26G, 인슐린주사바늘 30G, 피내주사시 25~27G

8. 약물이 들어있는 주사기: 일회용 주입약물이 미리 들어있는 카트리지 사용

-투여되는 용량이 미리 들어있으나 대상자에게 투여전 용량확인 후 처방된 양보다 많을 경우 뽑아 버린 후 사용

-바늘이 연결되어 있어 바늘 크기 조절이 불가능하고 교환할경우 일반주사기에 옮겨서 투약

-흔히 볼수있는 것이 인슐린 펜형주사기예방접종백신 등

9. 앰플: 유리로된 용기, 앰플 부러뜨리는 과정에서 유리조각에 상해를 입거나 미세한 유리분말이 유입될 수 있음(방지위해 여과바늘사용), 최근 플라스틱 앰플이 개발됨

10. 바이알: 일회용량다수회 용량의 약물이 들어있고 고무마개로 봉해져 진공상태유지, 액체나 분말형태, 다수회 투약용량의 경우 바이알 겉면에mL당 약물의 용량혼합날짜시간등 표시(술기보면됨), 냉장보관

11. 두바이알 약물 한주사기에 혼합(인슐린을 예로함)

-목적: 대상자가 주사 두번맞지 않도록 하기위함/ 주의사항: 혼합후 최종용량이 정확한지 확인

•인슐린(냉장고 보관된 경우 손바닥사이에 두고 굴려 따시게함)

-RI(regular insulin): 투명함, 피하정맥투여

-NPH인슐린: 단백질첨가(천천히흡수되도록)로 뿌옇다, 피하투여

•혼합과정(NPH30unit+RI10unit일경우)

NPH바이알에 30unit만큼의 air를 용액에 닿지 않도록 주입(공기밀려나오면 안됨)

RI바이알에 10unit만큼의 air를 주입후, 약물을 뽑아냄

NPH바이알에서 30unit만큼의 약물을 뽑음